※ 사전 적용 : 한글(한자)는 국어사전에서. 한자(한글)은 한자사전에서. ☆한자는 사전에 없는 한자풀이 용어 ㄱ
가보(家譜) [명사] 한 집안의 친족 관계나 내력을 계통적으로 적은 책. 家乘(가승) 한 집안의 계보. 한 집안의 사승(史乘). 한 집안의 역사적(歷史的) 기록(記錄). 족보(族譜), 문집(文集) 따위 干支간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 ☆系代(계대) 혈통(血統)의 이어지는 계통(系統)과 세대(世代) 교정(校訂) [명사] 남의 문장 또는 출판물의 잘못된 글자나 글귀 따위를 바르게 고침. ☆舊族譜(구족보) 옛 족보 = 이전족보 기록(記錄)[명사]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 기입(記入)[명사] 수첩이나 문서 따위에 적어 넣음. ‘써넣음’으로 순화 기재(記載) [명사] 문서 따위에 기록하여 올림 ㄴ
나중 [명사] 1.얼마의 시간이 지난 뒤. 2.다른 일을 먼저 한 뒤의 차례. 3.순서상이나 시간상의 맨 끝. 누락(漏落) [명사] 기입되어야 할 것이 기록에서 빠짐. 또는 그렇게 되게 함. ㄷ
단일(單一) [명사] 1.단 하나로 되어 있음. 2.다른 것이 섞여 있지 않음. 단일가보(單一家譜) 선대의 계통을 몰라 한 집안의 친족 관계나 내력을 계통적으로 적은 족보 책 대동-보(大同譜) [명사] 동성동본에 딸린 모든 파(派)의 족보를 합쳐서 엮은 족보. 동영상(動映像) [명사] <컴퓨터> 컴퓨터 모니터의 화상이 텔레비전의 화상처럼 움직이는 것. 등본(謄本) [명사] <법률> 원본의 내용을 전부 베낌. 또는 그런 서류. 등재(登載) [명사] 1.일정한 사항을 장부나 대장에 올림. ‘기록하여 올림’으로 순화.2.서적이나 잡지 따위에 실음. ㅁ
먼저 [명사] 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앞선 때. 명하-전(名下錢) [명사]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관련된 사람들에게 각각의 몫을 배당하여 거두는 돈. 매체(媒體) [명사] 1.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물체. 또는 그런 수단. 모바일 : '움직일 수 있는'이라는 뜻으로, 이동성을 가진 것들을 총칭한다. 보통 휴대전화를 의미한다. 묘소(墓所) [명사] [같은 말] 산소1(山所)(2. 뫼가 있는 곳) 文獻(문헌) ①옛날의 제도(制度)나 문물(文物)을 아는 데에 증거(證據)로 되는 기록(記錄)이나 서적(書籍) ②특정(特定)한 연구(硏究)에 대(對)하여 참고(參考) 자료(資料)로 되는 인쇄물(印刷物) ③또는 쓰여 진 것 미비(未備) [명사] 아직 다 갖추지 못한 상태에 있음. 미상(未詳) [명사] 확실하거나 분명하지 않음. ㅂ
配(배) 나눌 배, 짝 배 1. 나누다 2. 짝짓다 3. 짝 지어 주다 4. 걸맞다 5. 견주다 6. 귀양 보내다 7,종사하다(從事--) 8. 딸리다(예속함) 9. 보충하다(補充--) 10. 짝 11. 아내 12. 적수(敵手) 13. 술의 빛깔 보증 (保證) [명사] 어떤 사물이나 사람에 대하여 책임지고 틀림이 없음을 증명함. 봉작(封爵) [명사] 1.제후(諸侯)로 봉하고 관작(官爵)을 줌.2.<역사>의빈(儀賓), 내명부, 외명부 따위를 봉 하던 일 夫(부) 지아비 부 1. 지아비 2. 남편(男便) 3. 사내, 장정 4. 일군, 노동일을 하는 남자(男子) 5.군인(軍人), 병정(兵丁) 6. 선생, 사부 7. 부역(負役) 8. 100묘(畝)의 밭 9. 저, 3인칭 대명사(代名詞) 부좌(祔左) [명사] 부부를 합장할 때에, 아내를 남편의 왼쪽에 묻음 ㅅ
床石상석 무덤 앞에 제물(祭物)을 차려 놓기 위(爲)하여 넓적한 돌로 만들어 놓은 상(床). 혼유석과 향로석(香爐石)의 가운데에 놓음 상훈(賞勳) [명사] 1.상과 훈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 2.훈공을 칭찬하고 상을 줌. 선대(先代) [명사] 조상의 세대. 선조(先祖) [명사] 먼 윗대의 조상. 세보(世譜) [명사]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혈통과 집안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책. 수단(收單) [명사] 여러 사람의 이름을 쓴 단자(單子)를 거두어들임. 또는 그 단자. ☆收單金(수단금) 족보에 기록할 내용의 등재 비용 수시(隨時) [명사] 일정하게 정하여 놓은 때 없이 그때그때 상황에 따름. 壽命(수명) ①생물(生物)이 살아 있는 연한. 생명(生命)의 생존(生存) 기간(期間). 타고난 목숨 숙항 (叔行) [명사] 아저씨뻘이 되는 항렬. 또는 그 항렬의 사람 신상(身上) [명사] 한 사람의 몸이나 처신, 또는 그의 주변에 관한 일이나 형편 신상명세서(身上明細書) [명사] 개인의 경력과 형편을 상세히 적은 문서 심의(審議) [명사] 심사하고 토의함. 十干십간 간지(干支)에서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十二支십이지 열두 개의 지지(地支). 곧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쌍분(雙墳) [명사] 같은 묏자리에 합장하지 아니하고 나란히 쓴 부부의 두 무덤. ㅇ
양자(養子) [명사] 1.아들이 없는 집에서 대를 잇기 위하여 동성동본 중에서 데려다 기르는 조카뻘 되는 남자아이. 2.<법률>입양에 의하여 자식의 자격을 얻은 사람. 양자(養子)·계자(繼子/系子) = 같은말 열녀(烈女) [명사] 절개가 굳은 여자 오자(誤字) [명사] 잘못 쓴 글자. 외명부(外命婦) [명사] <역사> 조선 시대에, 왕족ㆍ종친의 딸과 아내 및 문무관의 아내로서 남편의 직품(職品)에 따라 봉작(封爵)을 받은 부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有碣유갈 : 비석 있음 (有 있을 유. 碣 비석 갈) ☆有床石유상석 : 상석 있음 (有 있을 유. 床 평상 상. 石 돌 석) 이전(以前) [명사] 1.이제보다 전. 2.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전. ㅈ
자(字) [명사] 본이름 외에 부르는 이름. 예전에, 이름을 소중히 여겨 함부로 부르지 않았던 관습이 있어서 흔히 관례(冠禮) 뒤에 본이름 대신으로 불렀다. 자문 (諮問) [명사] 어떤 일을 좀 더 효율적이고 바르게 처리하려고 그 방면의 전문가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물음 ☆籍名(적명) 호적(戶籍)이름 제적(除籍) [명사] 학적, 당적 따위에서 이름을 지워 버림. 조상(祖上) [명사] 돌아간 어버이 위로 대대의 어른. 族譜[족보] 한 집안의 계통(系統)과 혈통(血統)의 관계(關係)를 적어 놓은 책(冊), 한 족속(族屬)의 세계(世界)를 적은 책(冊) 卒(졸) 마칠 졸, 1. 마치다 2. 죽다 3. 끝내다 좌향(坐向) [명사] <민속>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등진 방위에서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 집성촌(集姓村) [명사]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이 모여 사는 촌락. ㅊ
出系출계 양자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 ☆出后上(출후상) 동성동본의 숙항(叔行)에게 양자 감 ㅌ
탈자(脫字) [명사] 빠진 글자. 특행(特行) [명사] 남보다 뛰어나게 행동함. ㅍ
파보(派譜) [명사] 같은 종파 안의 한 파의 족보. 포장(褒章) 명사<법률> 나라와 사회에 공헌한 사람에게 칭찬하는 표시로 주는 휘장. 훈장에 다음가는 훈격(勳格)으로, 가슴에 달도록 만들어졌다. 건국ㆍ국민ㆍ무공ㆍ근정ㆍ보국ㆍ예비군ㆍ수교ㆍ산업ㆍ새마을ㆍ문화ㆍ체육ㆍ과학 기술의 열두 가지가 있다. 표기(表記) [명사] 적어서 나타냄. 또는 그런 기록. 필사(筆寫) [명사] 베끼어 씀. ㅎ
합부(合祔) 명사[같은 말] 합장3(合葬)(여러 사람의 시체를 한 무덤에 묻음) 合葬(합장) 남편(男便)과 아내를 한 무덤에 장사(葬事)함 합장(合葬)[명사] 여러 사람의 시체를 한 무덤에 묻음. 또는 그런 장사. 대개 부부(夫婦)를 묻는 곳을 말함 合葬墓(합장묘) 두 사람 이상(以上)의 주검을 한데 묻은 무덤. 흔히 남편과 아내를 한 무덤에 묻는 경우를 이른다. 합폄(合窆) [명사] [같은 말] 합장(合葬)(여러 사람의 시체를 한 무덤에 묻음) 향로석(香爐石) [명사] 무덤 앞에 향로를 올려놓는 네모반듯한 돌. 탁상 모양을 새긴다. 향년(享年) [명사]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쓴다. 행적(行跡/行績/行蹟) [명사] 1.행위의 실적(實績)이나 자취. 2.평생 동안 한 일이나 업적. 3.나쁜 행실로 남긴 흔적. 호(號) [명사] 1.본명이나 자 이외에 쓰는 이름. 허물없이 쓰기 위하여 지은 이름이다. 2.세상에 널리 드러난 이름. 호적(戶籍) 명사 호주(戶主)를 중심으로 하여 그 집에 속하는 사람의 본적지, 성명, 생년월일 따위의 신분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문서. 2008년 호적법 폐지에 따라 폐지되고, ‘가족 관계 등록부’가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혼유-석魂遊石 명사 1 . 넋이 나와 놀도록 한 돌이라는 뜻으로, 상석(床石)과 무덤 사이에 놓는 직사각형의 돌을 이르는 말. 효(孝) [명사] 어버이를 잘 섬기는 일. 훈-포장(勳褒章) [명사] 훈장과 포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 훈장(勳章) 명사<법률> 1 . 나라와 사회에 크게 공헌한 사람에게 국가 원수가 수여하는 휘장. 2 . 대한민국 국민이나 우방 국민으로서 대한민국을 위하여 뚜렷한 공적을 세운 사람에게 그 공로를 기리고자 나라에서 주는 휘장. 나라에서 주는 포상 가운데 으뜸가는 훈격(勳格)으로, 무궁화 대훈장, 건국ㆍ국민ㆍ무공ㆍ근정·보국ㆍ수교ㆍ 산업ㆍ새마을ㆍ문화ㆍ체육ㆍ과학 기술 훈장의 열두 가지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