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22세대 (臺) 부사 이조참판
좌통례(左通禮) 필양(匹陽)의 차자로 1471년(성종8년)에 홍문관 수찬과 사간원 정언과 홍문관 교리. 사헌부 장령. 홍문관 전한등을 역임하고 강릉로 낙향 하였다 그후 이조참판에 증직 되었다
▣ 23세 세훈(世勳) 헌납
참판 대(臺)의 자로서 성종17년(1486)에 생원과에 등제하고 연산 원년(1495)에 문과 대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언(承文院正言)에 재임시 연산의 단상제도(短喪制度)를 상소 하다 북청으로 유배되고 그후 좌상 어세겸의 상진으로 복직 승문원 교리 이조정랑을 거쳐 사간원 헌납을 지냈다
▣ 24세 광철(光轍) 애일당 문과급제 예조참판
헌납 세훈(世勳)의 자로 1513년(중종 8년)에 문과대과에 급제하여 예조좌랑을 거처 동래부사, 금산백, 완산백등을 역임하고 예조참판을 지내고 강릉으로 낙향하였고 최초로 한글소설을 쓴 교산(蛟山) 허균(許筠)의 외조부시다
▣ 25세 양 (讓) 직장
예조참판 광철(光轍)의 장자로 음직으로 장예원 직장을 지내고 낙향하였다
▣ 26세 자해(自海)
장예원 직장 양(讓)의 자로 장사랑(將仕郞)
▣ 26세 자한(自漢)
장예원 직장 양(讓)의 2자로 문과 관 정랑 예안현감,
▣ 27세 영(鍈) 장사랑 자해(自海)의 자로 장사랑(將仕郞)
▣ 25세 인(인) 황산도 찰방 통훈대부
예조참판 광철(光轍)의 2자로 음사로 출사 황산도찰방을 지내고 통훈대부의 직품을 받았다
▣ 26세 자락(自洛) 판결사 찰방 인(인)의 장자로 장예원 판결사.
▣ 27세 강(鋼) 통정 판결사 자락(自洛)의 자 통정대부
▣ 28세 회량(會樑) 장사랑 판결사 강(鋼)의 자 장사랑(將仕郞)
▣ 29세 수성(守聲) 첨지 장사랑 회량(會樑)의 자
▣ 30세 태주(泰柱) 가선 첨추 첨지 수성(守聲)의 자
▣ 25세 겸(謙) 별좌첨정 예조참판 애일당의 4자로 별좌 첨정을 지냄,
▣ 29세 진한(振漢) 목사 첨정 겸(謙)의 현손 사마문과 목사,
▣ 24세 광식(光軾) 통덕랑 헌납 세훈(世勳)의 2자로 통덕,
▣ 25세 성(誠) 진사 통덕랑 광식(光軾)의 자 중종 38년(1583) 사마진사,
▣ 28세 지수(智粹) 부사과 진사 성(誠)의 증손 부사과(副司果),
▣ 29세 광현(匡顯) 진사 부사과 지수(智粹)의 자 진사,
▣ 24세 광진(光軫) 이설당 병조참판
헌납 세훈(世勳)의 3자로 1526(중종 20년)에 문과대과에 급제하고 홍문관교리와 응교 전한을 거처 직제학에 이어 우승지와 호조참의를 지내고 충청도,함경도,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하고 병조참판을 지냈다,
▣ 25세 눌(訥) 사직(司直) (정5품) 관상감첨정
이설당 병조참판 광진(光軫)의 장자로 오위부(五衛部)에 출사, 사과(司果)(정6품) 선조 16년 (1582)에 천문4과에 등제하여 관상감 첨정(종4품)을 지냈다
▣ 26세 상문(尙文) 무급제 통정 관상감 첨정 눌(訥)의 장자,
▣ 27세 극찬(克贊) 충순위 통정 상문(尙文)의 자,
▣ 28세 익창(益昌) 동추(同樞) 충순위 극찬(克贊)의 자,
▣ 29세 명석(命錫) 전력부위(展力副尉) 동추 익창(益昌)의 자.
▣ 26세 상질(尙質) 훈도 관상감 첨정 눌(訥)의 2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