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19세 용수(龍壽) 중직대부 지통주사
▣ 20세 중상(仲祥) 현신교위. 중랑장 사직
지통주사 용수(龍壽)의 2자로 무과에 등제하여 오위부 사맹으로 출사, 현신교위(顯信校尉)부사직(副司直)종5품 을 역임하고 지방의 현령(縣令)과 군사(郡事)를 지냈다
▣ 21세 여명(汝明) 의흥위 사정 (정5품)
사직 중상(仲祥)의 자로 세종조에 무관에 취제되어 오위부에 출사하고 단종3년(1454)에 진위부위(進衛副尉) 충좌위사용(忠左尉司勇) 정9품 세조 10년(1464)에 진용교위(進勇校尉) 사정(司正)정7품을 지냈다
▣ 22세 윤신(潤身) 호 괴당 목사(牧使)
사정(司正) 여명(汝明)의 장자로 1477년(성종8년)문과대과에 급제하여 내부시주부(內府侍注簿)와 성균관 전적.전중감찰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사헌부 집의를 지내고 원주목사에 제수되어 선정을 배풀고 낙향하여 예학덕업(禮學德業)의 학문을 닦아 후진양성에 힘쓰고 강릉 향현사(鄕賢祠)에 배향 되었다 호가 괴당으로 후손이 괴당공파라 한다
▣ 23세 세달(世達) 참봉 괴당공 윤신(潤身)의 자로 음사(陰仕)로 돈녕부(敦寧府) 참봉을 지냇다
▣ 24세 광언(光彦) 예빈시직장
괴당공 윤신(潤身)의 손자.이부취시(吏部取試)에 등제하어 예빈시봉사 (禮賓寺奉事)로 출사하고 중종 11년(1516)에 직장(直長)종7품 묘소 경포 가남촌에 후손이 세거 하였다
▣ 25세 임(임) 증 공조참의
예빈시 직장 광언(光彦)의 자.로 을사사화등의 혼란한 정국으로 출사하지않고 질(姪)인 몽호(夢虎)가 공조참의를 지냈기에 뒷날 공조참의로 증직 되었다
▣ 26세 몽상(夢祥) 첨추(僉樞) 공조참의 임(임)의 자로 첨지중추(僉知中樞),
▣ 27세 귀남(貴男) 계공랑(啓功郞) 첨추 몽상(夢祥)의 계자,
▣ 28세 형진(亨震) 통덕랑 계공랑 귀남(貴男)의 자,
▣ 29세 지옥(之沃) 승사랑 통덕랑 형진(亨震)의 자,
▣ 32세 학재(學載) 증 군자감정 덕진(德震)의 6세손 부 순관(舜寬),
▣ 33세 병열(秉烈) 통덕랑 덕진(德震)의 7세손. 부 학정(學貞),
▣ 33세 병성(秉性) 통덕랑 덕진(德震)의 7세손 부 학정(學貞),
▣ 35세 두연(斗演) 통사랑 몽상(夢祥)의 10세손 부 병검(秉儉),
▣ 36세 혁경(赫卿) 무과 정진(貞震)의 9세손 부 연복(演福),
▣ 36세 주경(注卿) 무과 정진(貞震)의 9세손 부 연복(演福) 헌묘 정미 무과.
▣ 36세 윤경(潤卿) 무과 정진(貞震)의 9세 부 연영(演榮),
▣ 37세 진업(振業) 행정사무관 몽상(夢祥)의 10세손. 부 정경(定卿),
여주파
▣ 25세 침(침) 직장 광언(光彦)의 2자로 비옥한 곡창지대 여주 흥천면에 정착,
▣ 30세 가원(可原) 통정 부 윤종(允宗) 침의6세손,
▣ 31세 세진(世鎭) 증 통정 부 영원(永原) 침(金函 ) 의 7세손,
문경파
▣ 25세 뉴(뉴)
직장 광언(光彦)의 3자 장자 인호(仁虎)의 후손은 문경에 세거하고 2자 극호(克虎)의 후손은 영양에 세거하였다,
▣ 28세 진한(振漢) 훈련참봉 부 석현(錫賢)의 2자,
▣ 29세 상중(尙重) 부호군 부 진국(振國)절충장군 뉴(뉴)의5세 행용양위부호군(行龍양衛副護軍)
▣ 30세 서경(瑞徑) 참봉 부 상중(尙重) 뉴(뉴)의 6세,
▣ 32세 정용(禎龍) 절충장군 첨지 부 은겸(恩謙) 인호(仁虎)의 7세,
선연
▣ 25세 수(수) 조산대부 군자감 주부 증 이조참판,
직장 광언(光彦)의 4자로 이부시(吏部試)에 취제(取才)하여 군자감 부봉사(정9품)로 출사 군자감 주부 종6품에 재임할때 사림간에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당쟁(黨爭)으로 관기(官紀)가 문란한에서 사임하였다
▣ 26세 응호(應虎) 첨지 조산대부 수(수)의 장자,
▣ 30세 성융(聖隆) 중추 첨지 응호(應虎)의 현손 부 태구(泰龜),
▣ 31세 치건(致鍵) 중추 중추 성융(聖隆)의 자,
▣ 31세 대진(大鎭) 첨추 부 상기(尙基) 항(杭)의 증손,
상운
▣ 26세 몽호(夢虎) 공조참의
참의 수(수)의 자. 선조 15년(1582)에 진사시에 급제 전설사별좌(典設司別坐)에 출사 직장.공조 호조 좌랑을 거처 광해 원년(1609) 증광문과에 급제 춘추관 기주관을 겸하여 춘추서장관. 예조좌랑 평안도도사 형조정랑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등 여러 관직을 거처 인조 원년(1623)에 공조참의에 올랐다
▣ 26세 의호(義虎) 보안찰방 부 조산대부 수(수)의 자,
▣ 27세 득중(得重) 종부시주부 공조참의 몽호(夢虎)의 자. 종부시주부(宗簿寺注簿),
▣ 27세 득의(得毅) 황산찰방
공조참의 몽호(夢虎)의 2자. 인조 원년(1623) 진사시 음헌능참봉을 지내다 황산찰방을 거처 내자직장과 장완사 포서별제를 지내고 마전군수를 발령받았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 27세 득헌(得憲) 기장현감 공조의 몽호(夢虎)의 3자. 무과 선전관주부. 도사. 기장현감,
▣ 27세 득립(得立) 전력부위 훈련원봉사 경호(景虎)의 자,
▣ 28세 우(우) 선전관 부 득헌(得憲) 무과 역선전관 군자호군,
▣ 28세 량(樑) 통덕랑 현감 득헌(得憲)의 2자,
▣ 29세 동구(東龜) 무과 부 니(니). 득의(得毅)의 손자,
▣ 29세 국구(國龜) 통덕랑 량(樑)의 2자,
▣ 30세 상지(尙祉) 장능 참봉 징구(徵龜)의 승자. 몽호(夢虎)의 5세손,
▣ 30세 상이(尙履) 진사 부 덕구(德龜). 영조 35년(1759)진사,
▣ 31세 정진(廷鎭) 통덕랑 부 상희(尙憘) 공조참의 몽호(夢虎)의 6세손,
▣ 31세 원진(遠鎭) 통정 부 상현(尙顯) 공조참의 몽호(夢虎)의 6세손,
▣ 32세 계행(啓行) 무과 부 치진(致鎭). 찰방 득의(得毅)의 현손,
▣ 32세 계구(啓求) 돈녕도정 부 매진(邁鎭) 참의 몽호(夢虎)의 7세손,
▣ 32세 계원(啓源) 통덕랑 부 태진(泰鎭) 찰방 득의(得毅)의 현손,
▣ 32세 계담(啓湛) 통정 량(樑)의 5세손 부 일진(一鎭),
▣ 33세 학용(學容) 승훈랑 (정6품) 부 계은(啓은) 득의(得毅)의 8세손,
▣ 33세 학부(學普) 호군 계철(啓澈)의 계자,
▣ 33세 학휘(學彙) 금부도사 계호(啓호)의 계자. 시준(始儁)의 5세손,
▣ 33세 학평(學枰) 동추 부 계환(啓渙),
▣ 34세 병섭(秉燮) 통덕랑 부 학권(學權),
▣ 34세 병걸(秉杰) 감찰 부 학문(學문) 계유(啓游)의 손자,
▣ 34세 병년(秉年) 사마 부 학린(學麟). 계흡(啓흡)의 손 고종 10년(1873) 사마 승자첨추,
▣ 34세 병만(秉萬) 통훈대 기사(耆寺) 비서감 부 학용(學容),
▣ 34세 병유(秉裕) 감찰 학추(學樞)의 계자, 계구(啓求)의 증손,
▣ 34세 학준(學璿) 통정 계익(啓瀷)의 계자,
▣ 35세 연식(演植) 중추원의관 병곤(秉坤)의 승자 계원(啓源)의 4세,
▣ 35세 연린(演麟) 통정 부 병권(秉權). 계효(啓涍)의 증손,
▣ 36세 익경(瀷卿) 참봉 부 연설(演卨). 계흡(啓흡)의 5세손,
▣ 37세 태진(泰振) 교장 부 선경(善卿). 계숙(啓潚)의 6세손,
▣ 37세 하진(河振) 은행지점장 선경(善卿)의 2자